Page 161 - 2020 국방백서
P. 161
군 책임운영기관제도 운영 국방부는 운영의 효율성·전문성과 국방서비스의
질적 향상을 위해 사업적, 집행적 업무 성격의 기
관을 군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.
군 책임운영기관 제도는 군 내외에서 기관장을 공개 채용하여 기관장에게 조직,
인사, 재정상의 자율권을 부여하고, 조직 운영의 성과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하는 제
도다. 2009년 시범 운영한 이후 지속적으로 대상을 확대하여, 2020년 현재 정비,
보급, 의료, 인쇄, 정보화 분야에서 16개 기관이 군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되고 있
다. 군 책임운영기관 현황은 [도표 5-14]와 같다.
[도표 5-14] 군 책임운영기관 지정 현황 : 16개 기관
계
지정 연도 국직(6개) 육군(2개) 해군(5개) 공군(3개)
16개 제
5
국군인쇄창 장
2009년 3개 보급창
국군수도병원
2011년 3개 국군대전병원 제1수리창 83정비창
2012년 3개 국군의학연구소 제2수리창 82정비창
2013년 3개 종합정비창 제3수리창 종합보급창
합동상호운용성기술센터
2014년 3개 정비창
국방통합데이터센터
2017년 1개 종합보급창
군 책임운영기관들은 생산성 증가, 서비스 수준 향상 등 가시적인 성과를 지속적
으로 창출하고 있다. 국군인쇄창은 군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기 전 오류인쇄율이
2.03%에 달했으나 지정 이후 0.23%로 낮추었으며, 육군종합정비창은 외주정비 대
상품목 545건을 자체정비 대상품목으로 전환하는 등 정비역량을 강화하였다. 또
한, 국군수도병원은 운영의 효율성 향상과 우수한 전문의료인력 확보를 통해 2015
년 종합병원으로 인증을 받았으며 2021년부터는 국군외상센터를 개원·운영할 예정
으로 군 의료서비스의 향상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.
군 책임운영기관들은 능동적이고 성과중심적인 업무수행 으로 기관의 경쟁력을
31)
31)
높이고 생산품과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 6개 기관 관련 분야에서
특허출원 226건, 출판저작권
으며, 향후 국방부는 복지, 시설분야에서도 군 책임운영기관을 지정하는 등 다양한 261건, 대외기관 인증 78건,
논문 게재 611건 등의
분야로 확대하여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. 성과 달성
제5장 공정투명하고 효율적인 국방운영체계 확립 15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