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127 - 2020 국방백서
P. 127
[도표 5-2] 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체계
구분 상담/신고 진료 법률
•국방헬프콜/양성평등정책과 •국선변호인
•각 군 양성평등센터 • 국군수도병원정신건강증진센터
군 내부 • 증인지원관
•성고충전문상담관(군단급) * 성폭력피해자 의료지원 전담병원 (신뢰관계인 동석 등)
•양성평등담당관(사단급)
•해바라기센터(31개소) : 상담, 진료(비급여 치료 일부 유료), 법률 무료지원
군 외부
•성폭력상담소(전국 168개 상담소)
여성 필수시설 확충 국방부는 여군배치 제한부대·직위 폐지, 여군 초임획득·
장기복무 선발 확대로 여군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각 군
에 여성 필수시설(화장실, 샤워실 등)을 확충하고 있다. 여성 필수시설 전수조사와
성별영향평가를 통해 확충소요를 파악한 후에 2019년에는 여군이 보직된 부대 중 제
5
필수시설이 미설치된 부대를 대상으로 121동을 설치하고, 육군 전방부대(GOP)에 장
총 210개소의 독립 소초장실을 확보하였다.
또한 2021년까지 여성 인력이 근무할 수 있는 모든 부대(육군, 해병대 : 독립 소대
급 이상, 해·공군 : 대대급 이상)를 대상으로 여성 필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.
아울러 노후화된 간부숙소를 집중적으로 개선하고, 부족한 숙소를 확충하여 점
차 증가하는 여군 초급간부의 복무여건을 개선해 나갈 것이다.
여성 필수시설(외부) 여성 필수시설(내부) GOP 소초 화장실
3. 군사 전문성 중심의 인사관리 정착
성별·출신별, 병과·특기별 균형된 인재 육성 특정 성별·출신, 병과·특기에 편
중되지 않는 균형인사를 통해 다
양한 특성을 가진 인원으로 조직을 구성하는 것은 미래 조직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.
이에 따라 국방부는 실적주의 인사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직구성의 다양성·
제5장 공정투명하고 효율적인 국방운영체계 확립 1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