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116 - 2020 국방백서
P. 116
화와 상호운용성 표준화를 위해 자원관리정보체계별로 구축된 연동시스템을 단일
시스템으로 통합할 계획이다. 또한, 정보통신기술 발전 추세와 국방안보 환경에 따
라 국방 정보화표준 을 최신화하고, 최신화된 표준이 적용되고 있는지 점검하는
21)
등 상호운용성 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.
스마트한 정보화 서비스 구현 국방 업무의 신 가치를 창출하고, 빅데이터 기
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한 정보화
서비스 구현을 위해 인사, 군수, 재정 등 주요 분야의 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있
다. 또한, 국방 정보화 서비스의 접근성과 호환성을 개선하여 국민이 양질의 서비스
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.
한편 공개 소프트웨어 도입을 확대하고 국방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
을 강화하고 있으며, 인공지능-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으로 간부와 장병들의 소프트
웨어 운용역량을 극대화하고 있다.
아울러 우리 군 주도의 연합연습 및 훈련, 분석능력 향상 등을 위해 다양한 모의
체계를 활용하고 있다. 인공지능,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모의분석 시범체
계를 구축하고 최첨단 통신기술을 융합한 합성전장훈련체계(LVC) 를 개발하는 등
22)
국방 M&S 체계를 발전시키고 있다.
23)
2. ICT 기반 고효율 선진 국방운영 실현
21)
정보시스템 개발 시 체계
간 호환성과 상호운용성을
확보하기 위해 적용되는 합성전장훈련체계 기반의 실전형 워리어 및 우리 군은 다양한 전쟁 양상의 변
정보기술 표준
부대 육성 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도시
22)
Live(실기동 모의훈련), 화 등 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교
Virtual(가상 모의훈련),
Constructive(워게임 육훈련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첨단기술을 적용한 과학화 교육훈
모의훈련) 체계를
하나의 합성환경으로 련체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.
구성하여 통합운영이 가능한
최첨단 실전적 훈련체계 각 군은 인원·장비의 기동과 실사격, 과학화 시스템이 통합된 과학화훈련장을 구
축하고 있으며, 레이저 빔 특성을 이용하여 실사격과 유사한 모의 사격이 가능한 마
23)
전장과 유사한 특성과
기능을 모형화(Modeling)한 일즈 장비를 개발 및 보급하고 있다. 또한 가상현실(VR)·증강현실(AR) 기술을 기반
환경에서
모의(Simulation)를 통해 으로 한 가상모의훈련체계를 확대하여 실전적 교육훈련 여건을 보장하고 있다. 향
실험 결과를 예측·검증하는
과학적 기법 후 각종 과학화 교육훈련체계를 통합·연계하는 합성훈련환경 구축 또한 계획하고
(M&S : Modeling &
Simulation) 있다.
114 2020 국방백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