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118 - 2020 국방백서
P. 118
고정식 제습기 동력식 환풍기
출입통제시스템
자동제어 판넬
(온,습도 표시창 설치)
중앙 통제실 온,습도 표시판
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장비정비 스마트탄약고(이글루형)
활용한 상태기반정비체계 및 원격정비지원체계가 적용된 스마트팩토리 조성을 추
26)
진하고 있다.
먼저 장비수명 및 수리부속 수요 예측과 관련해서는 수리부속 수요 예측의 정확
도 향상을 위해 수요 예측모델을 개발해 적용 중이며, 부품단종으로 인한 비용증가
및 장비가동률 감소에 대처하기 위한 부품단종관리정보체계를 구축하고 있다.
또한 육·해·공군의 주요 장비에 센서를 부착해 얻은 센서데이터를 기반으로 상
태기반정비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, 전문정비부대 투입이 어려운 해상 함정 및 격오
지 부대를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원격정비지원체
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.
26)
설계 및 계발, 제조 및
유통 등 생산과정에 디지털 향후에도 무기 획득단계에서부터 상태기반정비체계 적용 기반을 마련하고, 원격
자동화 솔루션이 결합된
정보통신기술(ICT)을 정비체계 대상 부대 및 장비를 확대하여 군 정비 분야에서 스마트팩토리의 기능을
적용하여 생산성, 품질,
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증대해 나갈 것이다.
지능형 생산공장으로 공장 내
27)
설비와 기계에 사물인터넷을 탄약 관리와 관련해서는 탄약 성능 및 안전 보장을 위해 사물인터넷(IoT) 을 활
설치하여
28)
공정 데이터를 용하여 탄약고 내 온·습도를 자동 조절하고 화재를 감시하는 스마트탄약고 를 구
실시간으로 수집하고, 이를
분석해 스스로 제어할 수 축하고 있으며, 유도탄 수요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유
있게 만든 미래의 공장
도탄 수명주기 관리체계를 조성하고 있다. 이를 위해 탄종별 스마트탄약고 적용 기
27)
각종 사물에 센서와 준을 정립하고 시범사업으로 스마트탄약고 7개 동을 건립 중에 있으며, 국방군수통
통신 기능을 내장하여
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, 합정보체계 내 유도탄 데이터 전산화를 구축하고 있다.
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
연결하는 기술 향후에는 스마트탄약고의 저장관리 성능을 분석한 후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여
(IoT : Internet of Things)
2025년 이후 전군에 확대할 계획이며, 유도탄별 수요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수요예
28)
생체 출입통제센서, 자동 측의 정확도와 가동률을 지속 향상시켜 나갈 것이다.
CCTV 및 감시센서,
온도·습도 자동화 설비, 군 물자류 관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적정 수명주기를 예측·산정하여 적기
화재감시센서 등을
설치하여 중앙통제실에서 교체를 지원하고 있으며, 로봇·자동화기기 등이 적용된 스마트 물류센터를 구축하
원격 자동제어가 가능한
탄약고 여 상·하역, 색출, 포장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인력절감과 물류 운영 효율화를 모
116 2020 국방백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