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115 - 2020 국방백서
P. 115
초연결·초지능 네트워크 기반 고도화 국방부는 변화하는 안보환경과 정보통
신기술 발전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비하
기 위해 초연결 광대역통합망을 구축하고, 클라우드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·융합
하여 언제, 어디서든 활용이 가능한 지능화된 공통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.
우선, 국방부는 초연결된 전장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미래 지향적인 차기 국방 광
대역통합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. 2011년에 민간투자사업(BTL) 으로 구축된 국
19)
방 광대역통합망은 현재 8,000여 회선을 수용하여 야전부대의 정보화 기반환경을
크게 개선하였으나, 장비의 노후화와 대용량 영상 서비스 수요 증가 등 한계에 직면
해 있는 상황이다. 이에 따라, 미래 전장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지 제
4
능화된 망구성 및 운영분석과 초고속·대용량의 정보유통이 가능한 차기 국방 광대 장
역통합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. 또한 이동성, 보안성, 생존성이 강화된 무선네트워
크와 단말기를 도입하여 평문 및 비밀업무가 가능하도록 국방 모바일환경을 구축하
고, 스마트한 군사력 운용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예정
이다.
국방부는 초연결된 네트워크망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
장·활용하기 위한 국방정보체계 서비스 통합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. 이를 위해,
국방 클라우드 확산전략과 국방통합데이터센터 고도화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하
여 노후화된 기반환경과 정보자원을 교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·운영함으로써 최
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.
또한 국방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을 체계적·전략적으로 국방
에 적용하기 위한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. 발전계획에는 인공지능의 국방 분야
적용을 위해 생태계 조성, 인공지능 윤리·문화 등 관련 전 분야의 발전전략이 포함
될 예정이다. 또한 인공지능 활용의 근간이 되는 국방데이터관리체계를 개선하고 전
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. 앞으로도 국방부는 국방분야 인공지능 도입과 효율적
활용을 통해 한국형 국방 인공지능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
나갈 것이다.
상호운용성 강화 미래전에서는 군사과학기술 발전에 따라 감시·지휘통제·타
19)
격체계와 정보체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실시간 정보를 Build Transfer Lease
공유하고 전장상황을 동기화해야 하므로 체계 간 상호운용성이 매우 중요하다. 따 20)
무기체계와 무기체계
라서 우리 군은 감시·지휘통제·타격체계에 대한 자체적인 ‘전술데이터링크 표준 운용을 위해 정보시스템 간
20)
정보 교환을 위한 실시간
적합성 시험’ 인증 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,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 간 연동 효율 디지털통신망
제4장 강력한 국방개혁 추진을 통한 혁신강군 건설 1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