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105 - 2020 국방백서
P. 105
부 비상근 복무제도, 실전적 훈련 강화 등을 통해 임무수행능력을 강화하고 있다.
예비군 편성 및 자원관리 예비군은 전시·사변,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등
에 대비하기 위해서 편성·관리되고 있으며, 평시에
는 동원훈련을 실시하고 지역방위와 재난에 대비하면서, 전시 등 유사 시에는 현역
부대의 증·창설과 손실병력에 대한 보충, 민관군 통합방위작전 등의 임무를 수행한
다. 예비군은 「예비군법」과 「군인사법」에 근거하여 예비역 간부는 현역군인 계급별
연령 정년까지, 병사는 전역 후 8년까지 예비군에 편성되어 복무한다.
2020년 12월 기준 예비군의 규모는 275만여 명이며, 이 중에서 여성예비군과 특 제
4
전 예비군 6천여 명이 지원예비군 에 편성되어 있다. 예비군부대는 행정구역 단위 장
5)
로 설치되는 지역예비군부대가 3,194개, 직장 단위로 설치되는 직장예비군부대가
823개 편성되어 있으며, 각 수임군부대에서 관리·운영하고 있다.
아울러 자연재해, 코로나19 등 사회재난 시 예비군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「국방
동원업무에 관한 훈령」 개정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였다.
예비군 훈련체계 발전 실전적인 훈련을 통한 예비군의 임무 수행능력 향상
과 훈련장 관리, 예산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
2024년까지 전국에 산재한 208개 예비군훈련장을 40개의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으
로 통합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.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은 영점·기록사격, 분대전
투사격 등이 가능한 영상 모의 사격장과 훈련장 주변 소음방지를 위한 자동화된 실
내사격장, 교전훈련장비 를 활용하여 분대 단위 팀훈련이 가능한 시가지전투훈련
6)
장을 운용하고 있다.
또한 입소부터 훈련평가, 퇴소 등의 모든 훈련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
스마트 예비군훈련관리체계를 통해 훈련성과를 제고하고 있으며, 2020년까지 총 12
개소의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을 구축하
고 가상현실(VR) 기반 영상모의사격시
스템을 추가 도입하였다. 5)
「예비군법」 제3조에 따라
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훈련이 없 18세 이상 대한민국
국민으로 예비군에 지원한 자
는 주말에는 훈련장을 개방하여 안보 중에서 선발된 인원
체험 등 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 6)
레이저 발사총기, 감지기,
간으로 활용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. 훈련통제·분석시스템, 전광판
등으로 이뤄진 쌍방 교전훈련
가상현실(VR) 모의사격 장비 일체
제4장 강력한 국방개혁 추진을 통한 혁신강군 건설 1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