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85 - 2020 국방백서
P. 85
군사 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전문학위 교육과 국외군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.
전문학위교육은 군 교수, 연구개발, 특수기술 분야 등의 군사전문가 육성을 위한
교육이다. 국내외 우수 교육기관에서 석·박사 학위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, 4차 산
업혁명과 스마트 국방을 선도할 인공지능, 로봇공학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를 중심
으로 연간 300여 명의 교육생을 선발하고 있다.
국외군사교육은 선진 군사지식 습득, 무기체계 운용, 전투기술 숙달, 지역전문가
제
육성을 위한 교육이다. 40여 개국 국방대학원, 지휘참모대학, 병과학교 등의 교육 3
장
기관에 연간 320여 명을 파견하고 있으며,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대비 연합·합동 전
문인력과 신남방·신북방정책의 군사분야 지원을 위한 지역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
동남아, 유라시아, 중동, 남미, 아프리카 등으로 파견 국가를 다변화하고 있다.
2. 학교 교육체계 발전
추진 중점 국방부와 각 군은 학교 교육체계를 정예장병 육성을 위한 양성교
육과 야전수요 충족을 위한 보수교육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발전
시키고 있다. 교육방식은 교관 중심의 강의위주 교육에서 교육생 중심의 참여형 교
육과 문제 해결형 교육으로 전환하였으며, 첨단무기체계 도입, 과학기술의 발달 등
국방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교육소요를 지속 검토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
다. 특히 정예장교 육성을 위한 사관학교 교육체계 개선, 우수 부사관의 안정적 충
원 및 양성을 위한 부사관 학군단 운영, 병 숙련도 향상을 위한 신병 교육체계 개
선, 국방 온라인교육 활성화를 추진하였으며, 「국방개혁 2.0」과 연계하여 군무원 교
육체계와 합동·연합작전 교육체계에 대한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. 현재 군의 학교교
육 현황은 [도표 3-12]와 같다.
[도표 3-12] 각 군 및 국직·합동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현황
2020년 기준, 단위 : 과정 수
구분 계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국직 · 합동부대
양성교육 35 14 7 8 5 1
보수교육 2,344 776 908 434 28 198
사관학교 교육체계 개선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정예장교 양성을 위해 사관학
교 교육체계를 개선하였다. 자율성이 발휘될 수 있도
제3장 전방위 안보위협 대비 튼튼한 국방태세 확립을 통한 평화수호 8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