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216 - 2020 국방백서
P. 216
과 단체생활로 고충을 겪거나 스트레
스를 받을 수 있다. 국방부는 복무 적
응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적극적으
로 관리하기 위해 인성검사를 4단계로
실시하고 있고, 심리상담과 치유를 위
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을 대대급까지
찾아가는 상담실 확대하여 배치하였으며, 고충을 겪고
있는 장병을 대상으로 상담과 심리치
유를 위한 그린캠프도 운영하고 있다. 또한, 24시간 고충 상담과 신고를 할 수 있는
국방헬프콜센터 상담창구를 확대하고 소원 수리제도와 각종 신고 창구 등을 운영
하여 고충을 조기에 식별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.
앞으로는 보다 예방학적 관점에서 한국국방연구원과 함께 인성검사의 신뢰도를
향상시키고,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수교육 등을 확대하며, 국
방헬프콜센터 상담 내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사고 예방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.
[도표 7-2] 국방헬프콜센터 연도별 일일 평균 상담 건수
2020년 11월 기준, 단위 : 건
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
상담 건수 47 111 159 176 170 134 159
2018월 9월 1일부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사이버 공개상담은 중단
[도표 7-3]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연도별 증원 현황
2020년 기준, 단위 : 명
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
인원 95 148 207 246 297 346 383 383 522 633
1)
자살 위험 대상자를
조기에 발견해 전문기관
(병영생활전문상담관)의 상담
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장병 자살 예방 역량 강화 군의 비전투 손실 예방과 소중한 생명을 지키
연계하고, 위급상황에서
자살 위험 대상자의 자살 기 위해 전 장병이 자살 예방 ‘게이트키퍼(Gate-
시도를 방지하기 위해
1)
관리·지원하는 사람 Keeper)’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.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인증받
은 각 군별 맞춤형 ‘보고-듣고-말하기’ 교육콘텐츠 를 제작하고 자살 예방 전담교
2)
2)
자살 위험자들의
자살 징후를 ‘보고’, 관을 활용해 반기 1회 이상 자살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. 또한 장병들의 군 복
그들의 생각을 ‘듣고’,
그들에게 조언을 해줄 수 무 적응을 지원하고 자살 예방을 위해 ‘식별-관리-분리’의 3단계 자살 예방 종합시
있도록 ‘말하는’
교육컨텐츠 스템을 시행하고 있다. 그리고 병무청, 보건복지부와 협업하여 정신과적 문제 등 복
214 2020 국방백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