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92 - 2020 국방백서
P. 92
주도 전지훈련을 실시하고 있다.
연합훈련의 경우, 한미 해병대 전술제
대급 연합훈련(KMEP) 을 연 20여 회
70)
이상 실시하여 병과별 능력 및 연합작
전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, 코
브라골드 훈련, 칸퀘스트 훈련, 환태평
양훈련(RIMPAC) 등의 해외 연합훈련 합동상륙훈련 (2020년 4월)
을 실시하고 있다. 이외에도 2021년부
터 호주 탈리스만 세이버(Talisman saber)훈련, 필리핀 카만닥(Kamandag) 훈련
참관 등 다자간 해외 연합훈련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. 최근 3년간 해병대 연
합훈련 현황은 [도표 3-16]과 같다.
[도표 3-16] 최근 3년간 해병대 연합훈련 현황
단위 : 회
국내 국외
구분 계
소계 한미연합 다자간 훈련 소계 한미연합 다자간 훈련
2018년 15 12 12 - 3 - 3
2019년 25 24 24 - 1 - 1
2020년 8 7 7 - 1 - 1
70)
한국에서 실시하는 한미 2020년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한미 협의하 훈련 조정 시행
해병대 전술 제대급
연합훈련으로 한미 해병대가
연합작전수행능력 및
상호운용성을 체계적으로 제대별 전술훈련은 독립 전장을 주도, 관리할 수 있는 작전수행 완전성 구비를 위
발전시키기 위한 훈련
(KMEP : Korea Marine 해 실시하고 있으며, 부대별 특화된 공수훈련, 상륙기습훈련, 유격훈련 등과 연계한
Exercise Program )
전술훈련을 적극 시행하고 있다. 또한 과학화장비를 활용한 쌍방훈련으로 실전적
71)
동일국가의 2개 군 이상의 훈련을 강화하고 있으며, 주기적인 상륙함 탑재훈련 및 대대급 이하 상륙작전 기회
부대가 동일 목적으로
참가하는 각종 활동, 작전,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.
조직
72)
71)
72)
작계수행절차 숙달을 위해 합동 연습 과 훈련 73) 우리 군은 급변하고 있는 안보상황에 대비하여 합동
작전계획, 교리, 작전환경
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작전 수행능력을 제고하고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
실제와 같도록 실시하는
훈련(Exercise) 지하기 위하여 합동연습과 훈련을 강화하고 있다.
을지태극연습은 정부의 을지연습과 우리 군 단독연습인 태극연습을 연계하여 국
73)
개인 및 부대가 부여된
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가위기관리역량 강화 및 전시전환 연습을 통한 군사대비태세 유지를 목적으로 2부
수 있도록 군사지식과
전투기술을 행동으로 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. 1부 국가위기대응연습은 중앙 및 지방행정기관과 협조
숙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
실천적인 활동(Training) 하여 국방부·합참·각 군 본부를 중심으로 통합된 상황관리 및 대응 절차를 숙달하
90 2020 국방백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