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 91 - 2020 국방백서
P. 91
종합훈련(Korea Flying Training), 전
시 작전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전투준
비태세 종합훈련(CFTE) 및 연합 특
65)
수작전훈련(Teak Knife), 연합 전투
탐색구조훈련(CSAR-TE) 등을 실
66)
시하고 있다. 2019년부터는 연합훈련
제
연합 편대군 종합훈련 (2019년 11월) 기회확대를 위해 중규모 연합편대군 3
장
(CFE) 훈련과 한미 전투대대간 소규
67)
모로 실시하는 쌍매브라보 연합훈련, 연합 근접 항공지원훈련을 신설하였다.
해외 연합훈련은 다국적 연합 전구급 공중훈련(Red Flag-Alaska)과 환태평양
지역 국가들간 인도적 지원 및 재난구호 협력 훈련(Cope North) 및 전시 피해복구
능력 향상을 위한 연합전시 피해복구 훈련(Silver Flag)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
다. 또한 2018년부터는 침투 및 투하전술 등 특수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미국
고급공수 전술훈련에 참가하고 있다. 향후 다양한 국가와의 연합작전 수행능력 향
상 및 상호운용성 확보와 전술 교류를 위해 다양한 해외 연합훈련 참가를 추진하고
있다. 최근 3년간 공군 연합훈련 현황은 [도표 3-15]와 같다.
[도표 3-15] 최근 3년간 공군 연합훈련 현황
단위 : 회
국내 국외
구분 계
소계 한미연합 다자간 훈련 소계 한미연합 다자간 훈련
2018년 21 18 17 1 3 - 3
2019년 22 18 17 1 4 1 3
2020년 68 66 66 - 2 - 2
65)
Combined Flying
Training Event
이외에도 지상모의훈련 장비(Simulator), 공중전투기동훈련 장비(GPS-
66)
ACMI) , 전자전훈련 장비(EWTS) 등을 활용한 과학화 훈련과 다국적 우주상황 Combat Search And
69)
68)
Rescue Training Event
조치 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 우주상황조치 연합연습(Global Sentinel)을 통해 우주
67)
상황인식 능력 제고 및 연합 우주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. Combined Forces
Exercise
해병대는 강제진입작전 수행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상륙훈련을 연 2회 이상 정기
68)
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, 신속기동부대 훈련, 연합·합동훈련, 제대별 전술훈련 등 Air Combat
Maneuvering
을 통해 최고도의 작전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. 상륙훈련을 통해 연합·합동 강제 Instrumentation
진입작전 능력을 배양하고 있으며, 신속기동부대의 서북도서 방어작전·안정화작전· 69)
Electronic Warfare
비군사작전 수행능력을 신장하고 있다. 이 외에도 서북도서 증원훈련, 울릉도 및 제 Training System
제3장 전방위 안보위협 대비 튼튼한 국방태세 확립을 통한 평화수호 89